금에 조금 관심이 생겨 찾아본 정보들...
금 ETN이나 선물도 있지만 역시 금 현물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져 금 현물 위주의 정보를 정리해 볼까 한다.
금 현물 구매 방법에는 많은 방법이 있지만, 각자의 장단점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면 상세하게 잘 비교 & 설명이 되어 있다.
open.krx.co.kr/contents/OPN/01/01050201/OPN01050201.jsp
실물 인출은 없다는 전제하에, 좀 더 간편하게 금 현물을 거래하는 방법은 KRX 금현물과 센골드인 것 같다.( 골드뱅킹보단 KRX 금현물이 나에겐 더 매력적이었다. )
☞ 센골드
광고를 보고 아.. 이런 곳도 있구나 알게 되었다.
- 장점 : 은 실물도 구매 가능 ( 금 이야기하다가 뜬금없지만 이게 제일 큰 장점인 것 같다. 은 실물을 보관 없이 살 수 있다니!!! ), 0.001g 단위로도 구매 가능, 자투리 포인트로도 구매 가능, 인출도 가능
- 단점 : 수수료 1% ( 현재는 이벤트 중으로 0.5% )
( 근데 여기 한국금거래소라는데 정부 공식 거래소인가, 사설인가... 정보를 못 찾았다. 지극히 주관적으로 느끼기엔 사설 같은 느낌인데.. 누가 정보 좀 알려줘요...)
☞ KRX 금현물 : 10개 증권사에서 거래 가능
금 99.99K, 미니금 100g 이렇게 두 종류가 있고 인출 가능한 최소 단위가 다르다.
가격은 1g 기준, 인출할 때 추가 수수료 발생하는데 미인출 기준으로 수수료 정리를 해봤다.
증권사 | 온라인 거래 수수료 ( VAT 포함 ) | 비고 |
미래에셋대우 | 0.165% | 계좌별 매일잔량을 시가(KRX금시장의 직전거래일 장종료시 가격기준)로 환산 → 0.0002%+VAT10% 보관료 발생 |
한투 | 0.25% | |
삼성 | 0.275% | 5억 미만 거래시 수수료 ( 5억 이상 거래 수수료는 패스~ ) |
키움 | 0.33% | |
나무 | 0.22% | |
유안타 | 0.22% | 티레이더 |
0.33% | 티레이더M | |
하나금융투자 | 0.33% | |
신한금융투자 | 0.284% | |
대신증권 | 0.3% | VAT 미 포함이지 않을까..... ( 홈페이지에서 VAT 관련 정보 못 찾음 ) |
KB 증권 | 0.3% |
종합적으로 보면 나에게는 KRX 금현물이 나은 것 같다. ( 일단 정부 공인이고, 공인 !!!!! 이게 제일 중요하지..)
'잡다한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주식 증권사별 수수료 정리 - 2021년 3월 (2) | 2021.03.01 |
---|---|
NH 나무 계좌 개설 이벤트 (0) | 2021.02.08 |
구글 애드센스 pin 번호 입력하기 (0) | 2021.02.03 |
더 리치 - 주식 포트폴리오 등 관리 어플 (0) | 2021.01.24 |
미국 주식 증권사별 수수료 정리 - 2021년 1월 (0) | 2021.01.04 |
댓글